지표 (Metric)
로그를 특정 기준에 따라서 요약한 숫자
중요한 이유?
-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줌
- 목표를 명확하게 함
- 의사결정의 기준
지표를 관리하는 두가지 방법
1 ) Task-Based
- 각 부서별 지표 중 중요도를 파악하기 힘듦
- 전체 프로세스에서 누락된 Task가 존재할 수 있음
- 팀별로 관리되며, 서비스/프로덕트 관점에서 최적화되지 않음
2) Framework-Based
효율적인 지표 관리
1) 회사 조직도에 따라 나뉘기 보다, User Lifecycle을 기반으로 Stage 구분
2) 유저가 들어오고 나가는 순간까지 모두 포괄
3) 각 단계가 일종의 funnel 형태로 유기적으로 엮임
4)) 지표 -> Task (Not Task -> 지표)
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이 AARRR by Dave McClure (Acquuisition, Activation, Retention, Revenue, Referral)
AARRR에 대한 오해
- 각 단계별 중요한 지표가 있나 -> 서비스의 목적과 Stage마다 다양하다.
- Acquisition부터???? -> No!!!!!, 1) Activation & Retention, 2) Acquisition & Referral, 3) Revenue
활용하는 방법
- 단계별 문제확인
- 단계별 활용지표 선별 및 측정
- 측정된 지표의 의미분석과 이해
- 현 단계에서 개선해야 할 목표 지표 설정, 실험을 통해 개선
해당 게시글은 인프런에 있는 양승화님의 그로스해킹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
'그로스해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ctivation이란? (0) | 2021.09.02 |
---|---|
Acquisition이란? (0) | 2021.09.01 |
그로스 해킹이란? (0) | 2021.08.31 |
댓글